본문 바로가기
정부 지원금 정보

전입신고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처리기간 구비서류 참고사항

by 류빗 2024. 2. 4.
반응형

거주지를 옮기게 되면 필수로 신청해야 하는 전입신고는 지역 주민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일상생활을 보호해 주는 제도입니다. 이 글을 통해 우리는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방법과 신고 후 처리 기간은 얼마나 걸리는지,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정부-정책-소개-표지

정의

살던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사하는 경우 거주지 변경 내용을 신고하는 절차를 말하게 됩니다. 주민등록법에 따라 국민의 실거주지를 파악하고 이는 해당 지역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안전하게 대피, 실시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.

 

 

세부 내용

신청 방법

  • 온라인 정부 24 홈페이지
  • 방문

온라인 신고 바로가기

 

 

신청 기간

  • 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

자격

  • 만 19세 이상의 성인 본인
  • 대리인

신청 서류

■ 본인

- 신분증

 

■ 대리인

- 대리인 신분증

- 위임장

- 위임인의 신분증

- 신청 자격 증명 자료

■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서류

- 건축물대장

- 재외국민등록부등본

- 해외이주신고확인서

- 출입국에 대한 사실 증명

 

위 서류는 담당 공무원이 확인하는 서류로 따로 제출하지 않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.

 

처리 기간

  • 토요일과 일요일 공휴일을 제외한 업무시간에 처리됩니다.
  • 오후 3시 넘어서 신청한 경우 다음날 처리 됩니다.
 

전입신고 요금감면 혜택 지원금 지원자격 신청 방법

전입신고 요금감면이라는 특별한 혜택이 있습니다. 이 혜택은 사회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. 수신료, 도시가스, 전기, 지역난방비 등 각종 요금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

ohddi.tistory.com

 

참고사항

Q. 전입신고 후 확인해야 하는 게 있나요?

A. 네 있습니다!

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주민등록증 뒷면 주소 정리를 해야 합니다.

②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.

③ 자녀가 있는 경우 중학교 혹은 고등학교에 배정 신청을 해야 합니다.

④ 각 동네의 통장이 방문하여 확인하게 됩니다.

 

Q. 세대주 확인까지 완료했는데 미접수 상태가 유지됩니다.

A. 세대원이 신고하는 경우, 만 19세 미만의 세대원을 포함하여 신고하는 경우 전출지 세대주 확인이 필요합니다.

 

그 외

  • 차량의 번호판이 지역 번호판으로 되어 있다면 변경 등록 신청이 필요합니다.
  • 보증금을 보호받기 위해 이사 당일 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기간 내 신고하지 않으면 5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거나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.

 

같이 보면 좋은 글

차량 내부 용어와 역할 정리

자동차 외부 용어 및 역할 알아보기

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일정 사전투표 해외 거주자 투표 정보

라오스 여행 기본 정보 환율 비자 주의사항

청년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폐지 신청 마감

 

이사-집-들판-거주지-바다

 

 

기후동행카드 온라인 신청 판매처 금액 및 참고사항

기후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며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, 현재 서울시 내부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점차 범위를 늘려갈 예정이라고 알렸습니다. 이 글에서

ohddi.tistory.com

 

 

전입신고 요금감면 혜택 지원금 지원자격 신청 방법

전입신고 요금감면이라는 특별한 혜택이 있습니다. 이 혜택은 사회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. 수신료, 도시가스, 전기, 지역난방비 등 각종 요금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

ohddi.tistory.com

 

 

카카오톡 추모 기능 업데이트 설정하는 방법

카카오톡에서 추모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는 업데이트 내용을 발표했습니다. 이야기를 들었을 때 떠난 사람을 마음껏 그리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인 것 같아서 좋다고 생각했고 흥미로웠

ohddi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